Dev/server env6 Kubernetes Autoscaling Autoscalingpod 리소스 부족 시 긴급 대응하려면 pod 를 늘리고 원인을 찾게 되는데, pod 를 자동으로 늘리고 알림을 받으면 리소스 알림을 받은 뒤 직접 처리하는 것보다 더 빠르게 대응할 수 있을것 으로 보여 autoscaling 활용 방법을 알아 봅니다.k8s pod 의 리소스가 부족할 때 pod 개수가 늘어났다가(scaleUp), 리소스 사용량이 줄어들면 pod 개수가 줄어드는(scaleDown) autoscaling 기능에 대해서 알아본다. autoscaling 을 사용해도 리소스 사용량이 증가한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담당자가 알고 있어야 하므로, scaleUp / scaleDown 이 발생했을 때 알림을 받을 수 있는지 알아본다. 1. HorizontalPodAutoscaler .. 2025. 5. 29. DNS 레코드 종류 (A/CNAME/AAAA 등) DNS 레코드란 무엇입니까?DNS레코드(또는 영역 파일)는 권한 있는 DNS 서버에 있는 명령으로서, 도메인에 연계된 IP 주소 및 해당 도메인에 대한 요청의 처리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이 레코드는 DNS 구문이라고 하는 일련의 텍스트 파일로 구성됩니다. DNS 구문은 DNS 서버에게 수행할 작업을 알려주는 명령으로 사용되는 문자열입니다. 또한, 모든 DNS 레코드에는 'TTL'이 있는데, 이는 time-to-live의 약어로 DNS 서버가 해당 레코드를 새로 고치는 빈도를 나타냅니다. 일반적인 DNS 레코드종류설명A도메인의 IP 주소를 갖고 있는 레코드.AAAA도메인의 IPv6 주소를 포함하는 레코드(IPv4 주소를 나열하는 A 레코드와 반대).CNAME하나의 도메인이나 하위 도메인을 다른 .. 2023. 10. 10. FQDN / PQDN FQDN(Fully Qualified Domain Name) 호스트 이름과 도메인 이름을 합친 전체 도메인 이름. 물리적인 IP 주소를 나타내는 것이다. 예를 들면, www.domain.com과 같이 www(호스트)와 domain.com(도메인 이름)을 합친 것을 말한다. PQDN(Partially Qualified Domain Name) FQDN와 달리 전체 경로명이 아닌 하위 일부 경로만으로 식별 가능하게 하는 이름을 PQDN 이라 말한다. 2023. 9. 26. access log 로 IP별 접속 count 구하기 sample 192.168.1.10 - - [08/Jun/2025:10:01:21 +0900] "GET /index.html HTTP/1.1" 200 51210.0.0.5 - - [08/Jun/2025:10:01:22 +0900] "GET /login HTTP/1.1" 200 1024192.168.1.10 - - [08/Jun/2025:10:01:25 +0900] "GET /dashboard HTTP/1.1" 200 1536172.16.0.2 - - [08/Jun/2025:10:01:27 +0900] "POST /upload HTTP/1.1" 500 204810.0.0.5 - - [08/Jun/2025:10:01:30 +0900] "GET /login HTTP/1.1" 200 1024 위와 같이 첫번째 부분이 IP .. 2017. 12. 18. 자주 쓰는 Docker 명령어 🐳 자주 쓰는 Docker 명령어 정리✅ 이미지 관련 명령어1. 이미지 목록 확인docker images현재 로컬에 저장된 모든 Docker 이미지 목록을 확인합니다.2. 이미지 삭제docker rmi 지정한 이미지를 삭제합니다.예: docker rmi nginx:latest✅ 컨테이너 관련 명령어3. 실행 중인 컨테이너 목록 확인docker ps현재 실행 중인 Docker 컨테이너 목록만 표시됩니다.4. 모든 컨테이너 목록 확인 (종료 포함)docker ps -a실행 중 + 종료된 모든 컨테이너가 나옵니다.5. 컨테이너 실행 종료docker stop 실행 중인 컨테이너를 종료합니다.예: docker stop my-nginx6. 종료된 컨테이너 삭제docker rm 종료된 컨테이너를 완전히 삭제합니다... 2017. 12. 18. 리눅스 서버 버전 확인하는 법 1. uname 사용하기[user@hostname ~]$ uname -a Linux hostname 2.6.32-358.6.2.el6.x86_64 #1 SMP Tue May 14 15:48:21 EDT 2013 x86_64 x86_64 x86_64 GNU/Linux 2. lsb_release 사용하기 [user@hostname ~]$ lsb_release -a LSB Version: :core-4.0-amd64:core-4.0-noarch:graphics-4.0-amd64:graphics-4.0-noarch:printing-4.0-amd64:printing-4.0-noarch Distributor ID: RedHatEnterpriseServer Description: Red Hat Enterprise L.. 2017. 12. 18. 이전 1 다음